분류 전체보기(217)
-
분쇄공정 - 회전밀(Tumbling Mill) 장치 구조
회전밀은 파쇄된 광석을 추가적으로 분쇄(Size reduction)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. 장치 안에 Ball, Rod 등의 분쇄를 위한 매체(Media)가 장입된 상태로 유입되는 광석과 함께 회전밀이 회전하며, 낙하 및 충격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광석이 분쇄됩니다. 이 때, 안에 장입되는 분쇄 매체에 따라 회전밀(Tumbling Mill)은 Ball Mill, Rod Mill 등으로 세분됩니다. I. Tumbling Mill Structure: 회전밀 장치의 구조 (1) 회전밀 외부 구조* *광석, 분쇄 매체 등의 장입을 위한 Chute는 이 글에서 생략 Gear Guard(①): 기어 및 그 외에 계장(Instrument)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Girth Gear(②): 거스 기어. 생김새로..
2020.07.09 -
자원처리 - 응결(Coagulation)과 응집(Flocculation)
[참고] 응집제(Flocculant)가 아래의 두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, 응집(Flocculation)이 두 과정을 포괄하는 경향이 있어, 자원처리 과정에서는 이 두 가지의 메커니즘을 구분하지 않고 주로 응집(Flocculation)이라는 한 단어를 포괄적으로 사용합니다. 콜로이드 입자가 뭉치는 것을 그 과정에 따라 응결(Coagulation) 혹은 응집(Flocculation)이라고 합니다. 이 두 가지의 용어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. Coagulation(응결, 응고, 응집): 응집제(Coagulant)를 투입하여 대전되어 있는 고체입자의 표면을 중성화하고(Neutralization), 이를 통해 현탁액 중의 침전되지 않는 입자(Non-settlable)들이 서로 ..
2020.07.08 -
탈수공정 - CCD: 세정효율의 계산
세정효율은 흔히, CCD의 단수, Wash Ratio와 함께 증가합니다. 따라서, CCD 공정 내 침전조를 많이 설치할 수록, Wash Water를 더 많이 넣을수록 증가하지만 이는 곧 CAPEX와 OPEX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. 세정효율(혹은 CCD 공정의 금속회수율)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. W.E.: Wash Efficiency Cn: 마지막 CCD U/F 내 특정 용질(Solute)의 농도 Cf: 첫번째 CCD에 유입되는 슬러리(침출후액 등) 내 특정 용질의 농도 식 (1)의 세정효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최종 U/F로 빠져나가는 슬러리 내 목적금속 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반복적이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계산을 거쳐야 합니다. (각 흐름에 대한 농도 및 유량은 위의 F..
2020.07.07 -
탈수공정 - CCD: 흐름도(Flowsheet) 및 세정효율
CCD(Counter-Current Decantation) 공정은 2개 이상의 침전조 및 부가적인 장비(Mixer Tank 등)를 설치함으로써 아래의 두 가지 주요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 입니다. *[참고] CCD의 목적 및 잔사의 세정방법 고액분리(Solid-Liquid Separation): 잔사(Tailing)와 침출후액(PLS)의 분리 세정(Washing): 잔사를 세정하여 잔사들과 함께 빠져나가는 침출후액의 손실 최소화 침전조 내에서 고액분리가 이루어진 다음 Underflow(U/F)는 펌프를 이용하여, Overflow(O/F)는 수두차를 이용하여 다음 단계로 보내어 집니다. 따라서, CCD 공정 내에서 각 침전조들끼리 구배가 있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. I. CCD's Flowsheet and ..
2020.07.07 -
자원처리 - 침강이론: 자유침강과 간섭침강
*[참고] Stoke's Law & Newton's Law (1) 자유침강(Free-Settling) 단일 입자가 유체 상에서 중력, 부력 및 항력 이외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채로 입자가 침강하며, 따라서 식 (1.1) Stokes' Law 또는 식 (1.2) Newtons' Law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. us: 간섭침강에 의한 종말속도 g: 중력가속도 DP: 입자 지름 μ: 유체 점성계수 ρP: 입자 밀도 ρ: 유체 밀도 (2) 간섭침강(Hindered-Settling) 광액농도가 증가함에 따라, 입자의 침강 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. 이는, 현탁액의 밀도가 기존 유체의 밀도보다 증가, 즉 유체의 겉보기 비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. 이 때, 간섭침강에 의한 종말속도는 아래 식 (2.1..
2020.06.29 -
자원처리 - 침강이론: Stoke's & Newton's Law
I. Sedimentation: 중력에 의한 침강 주로 침전조, 정화조 등에서 침강하는 입자에는 중력(Gravity Force), 부력(Buyoncy Force) 그리고 유체 점성 등에 의한 항력(Drag Force)이 작용합니다. 이 때 항력이 작용하는 방향은, 유체와 입자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됩니다. (따라서, 침전조 내에서 항력은 중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.) 유체 내 질량이 m인 입자에 Fg(중력), Fb(부력), 그리고 FD(항력)의 힘이 작용하고 이 때 입자의 가속도를 du/dt라 하였을 때, m: 입자의 질량 gc: 뉴턴법칙 비례상수 이며, Fg, Fb 및 FD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. ρ: 유체 밀도 ρP: 입자 밀도 CD: 항력계수(Drag Coefficient) ..
2020.06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