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etallurgical Processing(81)
-
전해채취 - 전해조의 구성 및 금속 석출량 계산
전해채취(electrowinning)는 습식제련 공정의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으며, 조금속(crude metal)을 양극으로 사용하는 전해정련(electrorefining)과는 다르게 불용성 양극을 사용합니다. [참고] 전해채취 - 전해정련의 차이 전해채취를 통해 주로 생산되는 금속은 구리, 아연, 니켈, 코발트 등이 있으며, 전해채취의 원리 및 석출량 계산에 대한 예시는 구리 전해채취를 통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. · 양극반응: H2O → 2H+ + ½O2 + 2e- · 음극반응: Cu2+ + 2e- → Cu 각 극에서의 반응을 통해 알 수 있듯, 양극은 불용성(비소모성) 전극이며 산소를 발생 시킵니다. 이 과정에서 발생한 전자(e)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구리이온을 환원 시키는데 사용됩니다. 이와 같은 ..
2020.05.16 -
용매추출 - Mixer-Settler
실험실 단위의 용매추출은 분별깔때기(Separatory Funnel)에서 이루어지지만, 습식제련을 적용하고 있는 실제 현장에서는 Mixer-Settler라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Mixer-settler는 추출하고자 하는 금속의 종류나, 처리량 등에 맞는 장비도 다양하게 나누어져 있습니다*. *[참고] Mixer-Settler의 종류/형태와 column 형태 contactor Mixer-Settler 장비의 용도는 유기상과 수상의 교반 및 상분리(Phase Disengagement)이며, 각각의 Mixer-Settler가 하나의 단위공정(추출, 세정, 역추출 등)을 이루게 됩니다. (1) Mixer-Settler의 기본구성 ˙Mixer(①, ②): 유기상과 수상의 흡입(Suction) ..
2020.05.15 -
용매추출 - 금속회수를 위한 용매추출법과 주요용어
용매추출법(Solvent Extraction)은 서로 혼합되지 않는(immiscible) 두 액상을 서로 접촉, 혼합 시켜 용질(solute)을 한 액상에서 다른 액상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입니다. 습식제련에서 주로 두 액상은 수상과 유기상이며, 두 액상은 공정의 단계에 따라 조업조건을 달리하여 용질을 다른 액상으로 추출되거나 역추출 될 수 있습니다. ˙수상(Aqueous Phase): 침출액(혹은 PLS; Pregnant Leach Solution), 전해액(특히 Spent Electrolyte) 등 ˙유기상(Organic Phase): 추출제(Extractant)와 희석제(Diluent)로 구성 용매추출의 목적 및 기본구성 용매추출법은 습식제련의 주요 공정 중 하나이며, 저품위 광석(Low grade o..
2020.05.14